2025 결혼식 비용 평균 얼마정도 되는지 정리
오늘 유튜브 쇼츠영상을 보는데 결혼을 포기한 예비신혼부부의 영상이 올라왔습니다.
연애 4년차로 슬슬 결혼이야기가 오갔고 그래서 웨딩박람회를 수십군데 다녀봤는데 결혼식에 이 정도까지 돈이 많이 들어갈 줄은 몰랐다고 했습니다.
예식장은 비싼 것도 비싼 거지만 이미 예약이 꽉 차있고 뭐 하나 추가할때마다 비용추가가 수십만원에서 수백만원씩 하고 요즘은 3천만원에 결혼식을 끝내면 가성비라는 말을 들을 정도라고 합니다.
그러다보니 결혼식을 꼭 해야하나라는 의문이 들어서 결국은 결혼식을 포기하기로 했다는데 저도 그 영상을 보면서 많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2025 결혼식 비용 평균 정리 자료
항목 | 전국 평균 (원) | 서울 강남/수도권 | 지방 |
---|---|---|---|
예식장 대관료 | 965만~1,555만 | 3,130만 (강남) | 800만~1,600만 |
식대(1인) | 58,000 | 85,000 | 44,000~63,000 |
식대 예시(200명 기준) | 1,160만 | 1,700만 | 880만~1,260만 |
스드메(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 300~450만 | ||
예물(반지, 시계 등) | 400~500만 | ||
신혼여행 | 600~1,000만 (장소에 따라 상이) | ||
혼수가전/가구 | 1,500~2,000만 | ||
기타(스냅, 사회자, 영상 등) | 100~200만 이상 |
전체 결혼 준비 평균 비용
- 신혼집 비용까지 포함 시: 약 3억 6,000만 원 (주택 마련비가 약 80%)
- 조촐한 스몰 웨딩(50인 기준): 500만~1,000만 원으로도 가능
- 호텔 웨딩: 5,000만 원 이상 필요
참고 및 최신 트렌드
- 성수기(4, 5, 10, 11월)는 비용이 더 높음
- 서울 강남, 도심지역은 지방 대비 2~3배 높음
- 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패키지(스드메)와 예식장 패키지 비교, 하객 수 조절, 신용카드/모바일 청첩장 등을 통한 절약 사례 증가
- 최근 실속형/맞춤형·미니웨딩 선호 트렌드 가속화
위는 요즘 결혼식을 할때 얼마 정도의 비용이 들어가는지를 간단하게 조사한 자료인데 예식장 대관료에 식대만 해도 이미 2~3천만원이 소요되고 스드메에 신혼여행까지 하면 대략 4천만원은 필요한 것으로 나옵니다.
예물이나 혼수가전은 남는 거지만 스드메에 예식장 대관료에 식대는 그날 하루를 위해서 쓰는 돈이니 아깝다는 생각이 안 들 수 없죠.
남들도 다 하는 거고 인생에 딱 한 번 있는 건데 결혼식을 안 하는 건 좀 그렇지 않나라는 생각을 하는 분들도 있지만 그 한 번에 4~5천만원의 돈을 투자하는 게 맞나 생각하는 분들도 있으니 결정은 본인들이 알아서 하면 될 것 같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결혼식은 굳이 안 해도 된다는 마인드지만 부모님이 그동안 뿌린 돈이 많아서 결혼식은 꼭 해야한다고 하셔서 한 것도 있습니다.
결혼이라는 게 두 사람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여러모로 신경 쓸 것들이 많을텐데 이제 시작하는 예비부부에게 너무 큰 빚을 지우는 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