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교양 중간고사 집단 컨닝사태 요약

고려대학교 교양 중간고사 집단 컨닝사태 요약 정리

고려대학교의 대형 비대면 교양 과목 중간고사에서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을 통한 집단 부정행위 정황이 확인되어 학교가 시험 전면 무효화와 엄정 대응을 예고했습니다.

다수 채팅방·소그룹별 정답 공유, 일부 AI 활용 의혹까지 제기돼 원격 평가 설계와 재발 방지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하는데 문제가 된 수업은 고려대 교양과목 ‘고령사회에 대한 다학제적 이해’입니다.

10월 25일에 치러진 비대면 중간고사에서 일부 학생들이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을 통해 시험 문제와 정답을 주고받은 정황이 확인된 사건입니다.

해당 강의는 약 1,400명이 수강하는 대규모 온라인 강의였으며 시험은 별도의 감독이나 부정행위 방지 장치 없이 진행된 것으로 보도되었습니다.

고려대학교 집단 컨닝사태

보도에 따르면 학생들은 오픈채팅방에서 시험 화면을 캡처하거나 화면 공유를 통해 문항을 유출하고, 같은 방 안에서도 여러 소그룹으로 나뉘어 정답을 주고받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모 채팅방 참여 인원은 약 500명으로 알려졌으나, 부정이 방 전체에서 일시에 이루어진 것은 아니고 그룹별로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에 강의 교수진은 10월 27일 공지를 통해 “부정행위를 묵과할 수 없다”며 중간고사 전면 무효화를 결정했고, 향후 강의 퀴즈·기말에서도 유사 행위 적발 시 F 및 행정조치를 경고했습니다.

그리고 학교 측은 여러 채팅방에서 화면 캡처·공유가 이뤄진 것으로 보고 사실관계를 조사 중이며, 공정한 평가가 훼손된 점을 들어 엄정 대응 방침과 기말고사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사태가 발생하자 일부 커뮤니티에는 작년에도 해당 수업에서 부정이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지만 대응이 미흡했다는 지적이 나왔고 이러한 시험 환경을 만든 교수진의 문제라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학생들의 잘못이고 학교 망신이라는 의견도 있었는데 학교 측에서도 부정행위 학생들에 대한 징계 절차 논의에 들어갔다고 하니 이후에는 이런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험에 대한 규정을 강화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앞서 연세대학교에서도 챗GPT 등을 이용한 집단 부정행위 정황이 적발되면서 파장이 일었는데 수강생 600명 가운데 현재까지 40여명이 자수를 하였고 자체 설문 결과 200명 이상이 부정행위를 했다고 응답하기도 했습니다.

담당 과목의 교수는 학생들이 자수를 하지 않으면 적발시 유기정학을 내리겠다고 경고를 한 상황이고 앞으로도 집단컨닝에 대한 처벌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시대가 바뀌면서 이제는 시험도 바뀌어야하는 건 맞지만 그것이 집단 컨닝이라는 방식으로 바뀌는 건 부적절해보이며 보다 좋은 방법으로 업그레이드 될 수 있도록 잘 고민해봤으면 합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