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 다닐때는 구두를 매일 신었는데 회사를 그만두고 개인사업을 시작하니 구두를 신을 일이 전혀 없더군요.
가끔 경조사가 있을때만 신고 다시 신발장에 넣어뒀었는데 얼마 전에 장례식을 갔다와서 집으로 올라오는데 구두 뒷굽이 아예 바스라져버렸습니다.
가루가 날리고 아주 난리도 아니어서 주차장에서 오는 길까지 빗자루를 들고 청소를 하고 다녔고 집에 들어와서 확인해보니 뒷굽이 다 삭아버린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게 왜 그런가 싶어서 찾아보니 구두 뒷굽은 계속 신고다니면 문제가 없지만 신지 않고 오래 방치하면 삭아버린다는 글을 봤습니다.
운동화는 모르겠지만 구두는 사놓고 아깝다고 안 신으면 똥이 될 수 있으니 최대한 많이 신어야겠다 생각했고 일단 구두를 가지고 동네에 있는 구두방을 찾아가봤습니다.
길거리를 지나다니다보면 작은 부스에 구두수선, 도장, 금이빨, 은수저 매입 이런 문구가 적혀있는 구두방을 보셨을텐데 집에서 제일 가까운 곳으로 찾아가서 구두 뒷굽 수선을 요청했더니 이건 공장에 맡겨야한다면서 비용은 대략 4만5천원정도 나올거라고 하셨습니다.
구두굽부터 밑창 전체를 다 갈아야한다던데 구두를 새로 사는 것보다는 그냥 그게 나을 것 같아서 그렇게 해달라고 요청을 드렸습니다.
구두 뒷굽 수선은 구두방에서 직접 하는 게 아니라 공장에 보내서 수리를 해주면 그걸 다시 가져오는 방식이던데 일단은 그렇게 해달라고 의뢰를 했고 구두 뒷굽 수선 비용 4만5천원은 나중에 구두를 받으러 올때 내겠다고 했습니다.
구두를 찾으러 올때 결제해도 되냐고 물었더니 흔쾌히 그러시라고 하셔서 구두만 맡기고 일단 집으로 들어왔습니다.
내려가는 길에 양복도 세탁소에 맡겼는데 양복은 와이셔츠랑 바지, 마이까지 해서 총 1만4천원이 나왔습니다.
예전에는 이것보다 비용이 좀 더 나왔던 것 같은데 그때는 왜 그랬는지 모르겠네요.
다른 구두방에 가지 않고 그냥 처음 방문한 곳에서 그렇게 해달라고 맡기고 왔는데 이 가격이 저렴한 건지 아니면 비싼 건지 몰라서 다른 분들의 후기를 검색해보니 대체적으로 이 정도는 하는 것 같았습니다.
어차피 구두 뒷굽 수선 비용 나오면 소비쿠폰으로 결제하면 되니 딱히 큰 부담은 없긴 한데 혹시라도 나만 비싸게 맡긴 걸까봐 괜히 여러 후기들만 계속 찾아보면서 집으로 올라왔습니다.
구두를 맡겼으니 나중에 오면 앞으로 구두를 자주 신고다닐 생각인데 정장 바지나 여러벌 사다가 같이 입고 신고 다닐 생각입니다.
옷을 너무 편하게 매일 추리닝만 입고다녀서 와이프가 뭐라고 한 적이 많으니 앞으로는 구두도 자주 신고 다녀야겠습니다.